android ca 2

[Android] 클린 아키텍처 적용 시 고민했던 3가지 의문점

새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새로운 디자인 패턴(MVI)를 적용하려고 하다보니, 클린 아키텍처에 대한 고심?이 필요했습니다 들었던 의문점들을 정리해보았어요 🥹 🔒 Q1. Repository는 화면을 따라가야 할까? 데이터 주체를 따라가야 할까? 🔑 A. Repository는 무조건 “데이터 주체” 기준으로 네이밍해야 함!❌ MainRepository, BookScreenRepository ✅ BookRepository, UserRepository:  Repository는 데이터 주체를 중심으로 만들어야 여러 화면에서 재사용 가능하고, 구조가 깔끔하게 유지  🔒 Q2. Repository는 domain 계층인데, 구현체는 왜 data에 있을까? 🔑 A. Repository의 정의는 도메인에 있고, 실제..

📱 Android 2025.04.12

[Android] Clean Architecture

공식 문서에서 권장하는 앱 아키텍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우선 각 계층에 대해 알아보고 권장 앱 아키텍처의 주요 목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resentation Layer / UI Layer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책임)   - Fragment, Activity- ViewModel : UI 관련 데이터를 관리, UI와 비즈니스 로직(도메인 레이어) 간의 연결 역할  2. Domain Layer (비즈니스 로직 관련 책임)   - UseCase: 도메인 레이어의 핵심 구성 요소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단위로,데이터 레이어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 후, 결과를 UI 레이어에 전달합니다.확장성과 재사용성을 고려해서 주로 하나의 비즈니스 로직당 하나의 use case를 두는 것이 ..

카테고리 없음 2024.10.09